비트코인이 42K까지 떨어졌다가 현재 고점 대비 25% 떨어진 46K에 안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FOMC 회의 결과가 그리 달갑지 만은 않지만 어느 정도 예상을 한 부분이고 헝다 그룹 디폴트나
비트코인 규제 등 중국 관련 악재나 유력인사들의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발언, 국제 정세 불안 등
임팩트 있는 악재 몇 개 안고 있는 상황에 비트코인은 장기적으로 강세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가진
저는 건강한 조정으로 보고 1/3 ~ 1/4 정도의 시드에 코인 몇 개를 담아봐도 괜찮겠다고 생각합니다.
NFT, 그리고 WEB 3.0에 관련된 뉴스를 찾아보던 와중 코라클님이 마스크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는데
제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맞는 프로젝트여서 여러분께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WEB 3.0에 대한 글은 아래에 걸어놨습니다.)
2021.12.17 - [코인] - 비트코인, Web 3.0?, 키워드에 주목하자
WEB 3.0이 기존의 중앙 운영체제의 방식에 대한 도전으로 NFT와 엮이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는데
갑자기 덜컥 WEB 3.0을 기존에 WEB 2.0 사용자에게 (이게 더 좋고 안전하니까 써보는 게 좋습니다, 이러이러한
장점이 있고 기존에 있던 WEB 2.0 ~~~ BRBRBR블라블라 블라) 이런 식으로 설명하면
너무나도 불친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기존의 WEB 2.0 사용자가 WEB 3.0으로 넘어갈까를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만드는 것이
마스크 네트워크(MASK) 프로젝트이고 이 프로젝트는 아직까지는 어려운 WEB 3.0을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WEB 2.0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끔 지원합니다. WEB 2.0과 WEB 3.0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이 마스크 네트워크 코인은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와 파일 코인, 알 위브 등의 서포트를 받고 있는 중입니다.
앞으로의 활동을 주목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투자를 한다면 장기적으로 보고 현재 시드의 1/10 정도 할 것 같습니다.
어찌 보면 절차상 자연스러운데 필연적인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23. 12. 18일 업비트 BTC마켓 기준 시가초액 3892억으로 업비트 시가총액 86위를 차지하고 있고 0.00024305 BTC (14,220 KRW)입니다.
마스크 네트워크, WEB 3.0, NFT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돈키 레터, 코인데스크 등 참고하셔서 검색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각 거래소마다 보유 코인이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코인을 얻으려면 그 코인이 있는 거래소에서 거래를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에 없는 클레이튼 코인 (카카오에서 밀어주는 코인입니다)을 구매하려면
업비트 외의 다른 거래소(ex. 코인원)에서 거래를 하시면 됩니다.
아주 대표적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세 가지 거래소에 대한 저의 주관적인 느낌을 정말 간략하게 써보겠습니다.
업비트는 제가 쓰는 거래소인데 가장 스탠다드한 거래소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빗썸과 코인원은 다루는 코인이 다양하고 주관적으로 뭐 이런 걸 팔지? 하는 코인도 파는 것 같습니다.
투기성이 강한 거래소 순으로 나열해보면 코인원, 빗썸, 업비트 순입니다.
투기성이 강하다고 해서 무조건 안 좋은 것은 아닙니다.
본인이 자신이 있다면 과감하게 도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초보자 분들은 업비트에서 투자하며 공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의 게시글은 정보 제공 및 경험담 공유 목적으로 작성하였고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